본문 바로가기

웹디자인

웹디자인 - 색의 대비 (동시대비, 계시대비, 색상대비, 명도대비, 채도대비 등등..)

웹디자인 기본기 다지기 -

색의 대비 (동시대비, 계시대비, 색상대비, 명도대비, 채도대비 등등..)

색의 대비

2가지 색이 서로 영향을 주어 원래 색의 특성보다 더 큰 차이를 보이는 현상이다. 

 

 

동시대비 (simultaneous contrast)

두 색을 인접시켰을떄 나타난다. 한 곳에 집중 시키려는 색채의 지각 과정에서 일어 나는데 동시대비는 순간적으로 일어 나게 되며 계속적으로 한곳을 보면 피로도 때문에 대비효과는 떨어진다. 

색채가 주변색의 영향을 받아 본래의 색과는 다른현상으로 보이도록 심리효과가 관여하는 동시대비 현상은 색의 차이가 클수록 대비 현상은 강해진다. 자극과 자극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바로 옆에 있접해 있을 수록 대비효과가 더 잘 일어난다. 또한 자극을 부여하는 크기는 작고, 바탕색이 크면 대비 효과는 커지지만, 두색의 크기가 비슷하거다 둘다 크면 대시 현상은 약해 진다. 

 

계시대비 (successive contrast)

빨간색을 한참 보다가 노란색을 보면 녹색을 본 것처럼 느껴지는데 이 런 대비 현상을 말한다. 계시대비는 먼저 본 색의 영향으로 다음에 본색에 보이는 것으로 잔상과 구별하기 힘들다. 순간 다른 색상으로 보일 수 있는데 일시적인 것으로 시간이 지나면 원래의 색으로 보이게 된다. 이렇게 일정한 색의 자극이 사라진 후에도 지속적으로 색의 자극을 느낄때 나타나는 대비로 자극시간과 자극강도에 따라 그 대비효과에 차이가 있다. 

 

색상대비 (color contrast)

색상이 다른 두 색을 인접할 때, 두색이 서로의 영향으로 색상차가 크게 나타나는 현상을 색상대비라고 한다. 색상대비는 1차색끼리 잘일어나며 2차, 3차색이 될 수록 그 효과는 적어진다. 주로 색상환에서 배경색과 반대 색상으로 치우치려는 경향이 강하며, 원색끼리의 조합에서는 채도가 모두 높지만, 각색상들의 명도가 비슷하여 애매모호한 느낌이 들 수도 있다. 색의 상징을 극대화 하여 색상의 대비를 주로 이용하며 각 색상의 특성을 잘보이게 하기도 한다. 

 

명도대비 (luminosity contrast)

명도대비는 명도가 다른 두 색을 인접하여 대비 시켰을때, 서로간의 영향으로 명도가 높은 쪽은 더욱높게, 명도가 낮은 색은 더욱 어둡게 보이는 것이다. 명도대비는 명도차이가 클수록 더 강하게 일어나며 유채색보다 무채색에서 더 강하게 일어난다. 자극은 검정바탕에서 가장 밝게 보이고 흰바탕에서 가장 어둡게 보인다. 

 

채도대비 (chromatic contrast)

채도가 다른 두 색을 서로 대비시켰을 때, 서로의 영향으로 다른 채도감을 보이는 현상이다. 즉 같은색을 저채도 위에 놓으면 채도가 더 높게 보이는것 또한 채도대비이다. 채도대비는 유채색과 무채색의 대비에서 가장 뚜렷하게 일어나며 색상대비가 일어나지않는 무채색에서는 채도대비가 일어나지 않는다. 

 

보색대비 (complementary contrast)

서로 보색이 되는 색들끼리 나타나는 대비 효과를 보색대비 라고 한다. 두색은 서로 영향을 받아서 본래의 색보다 채도가 높아지고 선명해져서 상대방의 색을 강하게 드러내 보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보색끼리 의 배색으로 각잔상이 상대편의 색상과 겹쳐져 채도가 증가되어 색상이 더욱 뚜렷해지기 때문이다. 유채색과 무채색이 인접될때 무채색은 유채색의 보색이 있는듯 보이는 것도 보색대비 이다. 

 

연변대비 (edge contrast)

인접한 두색을 동시에 보면 대비효과가 강하게 강조되어 보이는 현상으로 연변대비는 서로 다른 두색이 인접해 있을때 인접부분에서 색상, 명도, 채도대비가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동시대비의 경우 인접시켜놓았을때 색상, 명도, 채도대비가 강하게 일어나는데 이와같은 현상을 연변대비라고 한다. 연변대비를 감소 시키려면 두색사이의 간격을 두거나 무채색을 사용한다.

 

면적대비 (area contrast)

동일한 컬러에도 불구하고 면적이 커지면 명도와 채도가 증가하고 반대로 작아지면 명도채도가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이 면적대비 이다. 인테리어 도배등 샘플북으로 보았을때와 전체적인 벽면에 도배를 해놓고 보았을때 색이 강해보이는 것이 면적대비의 현상과 동일하며, 이러한경우에는 주의해서 색상을 선택해야 한다. 

반응형